기초 대수구조 (군,환,체)
대수구조 대수 구조란 수 뿐 아니라 수를 대신 할 수 있는 것을 대상으로 하는 집합과 그 집합에 부여된 연산이 여러가지 공리로써 엮인 수학적 대상이다. 간단히 말하자면 일련의 연산들이 주어진 집합이다. 그냥 언뜻 들으면 전혀 와닿지 않는다. 하지만 만약 당신에 프로그래밍을 알고 있고, 추상화에 대해서 알고있다면 조금 더 쉽게 받아들일 수 있다. 어...
대수구조 대수 구조란 수 뿐 아니라 수를 대신 할 수 있는 것을 대상으로 하는 집합과 그 집합에 부여된 연산이 여러가지 공리로써 엮인 수학적 대상이다. 간단히 말하자면 일련의 연산들이 주어진 집합이다. 그냥 언뜻 들으면 전혀 와닿지 않는다. 하지만 만약 당신에 프로그래밍을 알고 있고, 추상화에 대해서 알고있다면 조금 더 쉽게 받아들일 수 있다. 어...
행렬 용어 정리 성분(Element, Component) : 행렬안에 배열된 구성원, 항이나, 원소라고 하기도 한다. 행(row) : 가로줄 열(column) : 세로줄 NxM 행렬 : N행과 M열로 이루어진 행렬 주대각선 (Main diagonal) : 행렬의 왼쪽 위 끝부터 오른쪽 아래 중간을 가로지르는 선 영 행렬(zer...
개요 수학 기초가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서 관련 내용 포스팅을 진행할까한다. 이상엽Math 님의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선형대수를 기초로 잡아 다른 강의 내용을 추가적으로 들어서 업데이트를 할까 한다. 따라서 목차도 이상엽Math 님의 유튜브에 올라온 선형 대수학 목차를 기반으로 시작하되 목차 밑 내용의 잦은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이다. 다시 한번 말...
동적 계획법 영어로는 dynamic programming이라고 불린다. 복잡한 문제를 풀기 위해 작은 여러 문제로 나눠서 푸는 것이다. 작은 여러 문제를 해결하고 그 해결한 결과를 취합하여 복잡한 문제 결과를 내는데 사용한다. 동적 계획법을 사용하기 위한 조건 1.중복되는 부분 문제(Overlapping Subproblems) DP는 기본적으로 문제...
탐욕법(Greedy method) 그때 그때 가장 최적의 해를 취하여 전체의 큰 해를 만드는 방법이다. 탐욕법 사용 조건 탐욕 선택 속성(Greedy Choice Property) 각 단계에서 ‘최선의 선택’을 했을 때 전체 문제에 대한 최적해를 구할 수 있는 경우이다. 최적 부분 구조(Optimal Substructure) 전체 문제의 최적해가...
스케줄링 Kubernetes의 Pod에 대해서 저번에 알아봤다. 이러한 Pod는 실 서버로 이루어진 Node에 배치되게 되는데 이러한 배치도 마구잡이로 규칙없이 되는게 아니라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있다. 어떤 규칙이 있는지 지금부터 알아보고자한다. Pod가 배치되는 절차 Pod의 배치를 관할하는 것은 kube-scheduler이다. kube-sch...
개요 nginx conatiner 한 개, nodejs express container 2개 총 3개의 container를 구성한 뒤 1개의 pod에서 구동하여 외부에서 접속 가능한 형태의 간이 서비스를 제작 80으로 접속시 node-1에 접속하여 a-server라는 문구가 뜨게 하고 8080으로 접속시 node-2에 접속하여 b-server라는 문구...
Pod란? 컨테이너를 하나 이상 모아둔 것으로 쿠버네티스 애플리케이션의 최소 단위이다. 여러 개의 컨테이너로 구성된 포도도 있고, 단일 컨테이너로 이루어진 포드도 있다. kubernetes의 kube-apiserver나 core-dns등 master node에서 볼 수 있는 기능들도 다 각자의 POD에서 구성된다. Pod의 특징 기본적으로 하나...
이전 포스팅에서는 도커의 대략적인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컨테이너 툴인 도커의 구조에 대해서 알아봤으니 컨테이너들을 관리하는 오케스트레이션 툴인 쿠버네티스에 대해서 간략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쿠버네티스는 오케스트레이션 툴 중에 가장 유명하고 많이 사용되는 툴이다. 구글의 서비스 운영 철학이 녹아있고 많은 사용사례가 있는 강력한 툴이다. 이러한 쿠...
도커의 구조 흔히 말하는 도커라고 하면 docker engine을 말하지만 이러한 엔진도 내부 부분으로 나뉘며 엔진만 있어서는 구동이 되지 않는다. 다음 그림은 도커를 구동하기 위한 일련의 그림이다. 해당 그림은 docker 공식 홈페이지에서 갖고 왔다. imgSource : https://docs.docker.com/get-star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