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제와 집합
1. 명제와 증명
(1) 명제와 연결사
명제 : 참, 거짓이 분명하게 판단되는 문장 단순 명제 : 한 개의 명제 합성 명제 : 몇 개의 단순 명제들이 연결사에 의해 결합된 명제
연결사 : 두 명제 p와 q에 대해 아래의 연결사가 있음
명칭 | 기호 | 읽는 법 |
부정 | ~$p$ | not p |
논리곱 | $p \wedge q$ | p and q |
논리합 | $p \vee q$ | p or q |
조건 | $p \rightarrow q$ | if p, then q |
쌍조건 | $p \leftrightarrow q$ | p if and only if q |
(2) 진리표
p | q | ~p | $p \wedge q$ | $p \vee q$ | $p \rightarrow q$ | $p \leftrightarrow q$ |
T | T | F | T | T | T | T |
T | F | F | F | T | F | F |
F | T | T | F | T | T | F |
F | F | T | F | F | T | T |
(3) 연역적 추론
이미 알고 있는 판단을 근거로 새로운 판단을 유도하는 것이다.
집합론에 들어가기 앞서 아래의 것들은 항상 참으로 알아두면 좋다.
- $ p \rightarrow q \equiv \sim p \vee q $
- $ \sim (p\wedge q) \equiv \sim p \vee \sim q $
- $ p \rightarrow q \equiv \sim q \rightarrow \sim p $
- $ (p \vee q)\vee r \equiv p \vee (q\vee r) $
- $ p \vee (q \wedge r) \equiv (p\vee q) \wedge (p \vee r) $
2. 명제함수와 부정
(1) 명제함수와 한정기호
명제함수 : 변수 x가 결정되어야만 참, 거짓이 판단되는 문장
한정 기호 : 전칭 기호와 존재기호
- 전칭기호 $\forall$ : 전체
- 존재기호 $\exists$ : 적어도 한 개 이상 있다
(2) 명제의 부정
두 명제 p와 q에 대해, x의 모집단은 건드리지 않도록 하며 다음 4가지 원리를 모두 적용한다.
$$\forall$$ | $$\rightleftharpoons$$ | $$\exists$$ |
$$\wedge$$ | $$\rightleftharpoons$$ | $$\vee$$ |
$$ㅔ$$ | $$\rightleftharpoons$$ | $$\sim p$$ |
> | $$\rightleftharpoons$$ | $$\leq$$ |
3. 함의와 동치
(1) 항진명제와 모순명제
항진 명제 : 모든 논리적 가능성의 진리값들이 참인 명제 = t
모순 명제 : 모든 논리적 가능성의 진리값들이 거짓인 명제 = c
- 항진 명제와 모순 명제의 성질
- 임의의 명제 p에 대해서
- $ p \vee \sim p \equiv t $
- $ p \wedge \sim p \equiv c $
- $ t \vee p \equiv t $
- $ c \vee p \equiv p $
- $ t \wedge p \equiv p $
- $ c \wedge p \equiv c $
(2) 함의와 동치
함의
항진인 조건문 $p \rightarrow q$ 를 논리적 함의라 하고 $p \Rightarrow q$로 나타내며 p는 q의 충분조건, q는 p의 필요조건이라 한다.
동치
항진인 쌍조건문 $p \leftrightarrow q$ 를 동치라 하고 $p \Leftrightarrow q$로 나타내며 p와 q는 서로의 필요충분조건이라 한다.
참고 자료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