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STACK - Neutron
Neutron ※ 아직 해당 포스팅 작성이 완료되지 않았으므로 참고만 하기 바람 1. 개요 이전에 포스팅했던 nova가 가상화머신을 관리하는 서비스라면 이번에 포스팅할 neutron의 경우에는 가상 네트워크 인프라의 구성과 관리를 담당하는 서비스이다. API를 통해 가상 네트워크, 서브넷, 라우터, 포트 등의 네트워킹 리소스를 정의하고 관리...
Neutron ※ 아직 해당 포스팅 작성이 완료되지 않았으므로 참고만 하기 바람 1. 개요 이전에 포스팅했던 nova가 가상화머신을 관리하는 서비스라면 이번에 포스팅할 neutron의 경우에는 가상 네트워크 인프라의 구성과 관리를 담당하는 서비스이다. API를 통해 가상 네트워크, 서브넷, 라우터, 포트 등의 네트워킹 리소스를 정의하고 관리...
Devstack ※ 본 포스팅은 2025년 1월 8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음 1. Devstack이란? DevStack은 git master의 모든 최신 버전을 기반으로 완전한 OpenStack 환경을 빠르게 구축하는 데 사용되는 일련의 확장 가능한 스크립트입니다. 개발 환경으로 대화형으로 사용되며 OpenStack 프로젝트의 많은 기능 테스트...
Nova ※ 아직 해당 포스팅 작성이 완료되지 않았으므로 참고만 하기 바람 1. 개요 OPENSTACK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 중 NOVA는 컴퓨터 인스턴스 (가상화 서버)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프로젝트이다. 컴퓨터 인스턴스에 대한 제공만 관여하는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다른 프로젝트와 연동해서 사용해야한다. Keystone...
오픈 스택(Open stack) ※ 관련 모듈의 추가적인 연구가 있다면 링크를 달 예정이기 때문에 잦은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이다. 1. 개요 오픈 스택이란 “데이터 센터 전체에서 대규모 컴퓨팅, 스토리지 및 네트워킹 리소스풀을 제어하는 클라우드 운영체제” 1 이다. 다수의 모듈로 이루어져있으며 이 모듈들의 상호 동작 아래 리소스풀을 제어하게...
3. EXT 1) 개요 ext(extended file system, 확장 파일 시스템)는 리눅스용 파일 시스템 가운데 하나로 만든 이는 스테펜 트위디(Stephen Tweedie)이다. 1992년 4월에 처음 모습을 드러냈으며 오늘날 많은 리눅스 배포판에서 주 파일 시스템으로 쓰이고 있다. a. ext2 Rémy Card가 ext(extended...
파일 시스템 파일 시스템을 한 마디로 정의하자면 파일을 쉽고 빠르게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저장 매체를 관리하는 일종의 규약이다. 이러한 파일 시스템의 종류로는 윈도우 계통에서는 FAT 12/16/32나 NTFS 등이 있고, 리눅스에서는 ext2, ext3 등이 있다. 1. FAT 1) 개요 File Allocation Table의 약자이다....
MBR vs GPT 1. 개요 Firmware Interface의 종류로는 2가지가 있는데 BIOS(Basic Input Output System)와 UEFI(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이다. BIOS는 레거시 BIOS로 불리는 것으로 이전 컴퓨터부터 제공하던 펌웨어 인터페이스이고 UEFI는 비교적 최근에 나...
가상 파일 시스템(Virtual Filesystem) ※ 아직 해당 포스팅 작성이 완료되지 않았으므로 참고만 하기 바람 1. 개요 가상 파일 시스템(Virtual Filesystem, 혹은 Virtual File Switch 라고도 한다)인 VFS는 파일시스템 관련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공간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고 파일을 구현하는 커널 서브 ...
메모리 관리 1. 페이지 커널은 물리적 페이지를 메모리 관리의 기본 단위로 사용한다. 메모리 관리 장치(MMU)는 페이지 단위로 처리한다. 이는 사용자 레벨에서만이 아니라 커널 역시 동일하기 때문에 MMU는 페이지 크기의 정밀도를 가진 시스템 페이지 테이블을 관리한다. 페이지 크기는 아키텍쳐별로 다르다. 하지만 대부분 32bit 아키텍쳐의 페이지 ...
타이머 1. 개요 시스템 내에서 시간을 아는건 중요하다. 이는 주기적으로 처리해야하는 Task뿐만 아니라 예약된 Task를 처리할 때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커널이 시간의 흐름을 측정하는데 필요한 기능을 하드웨어에서 제공하는데, 이를 시스템 타이머라고 한다. 시스템 타이머는 전자시계나 프로세스 주파수와 같은 전기적 시간 신호를 이용해 동작하며 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