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버네티스 세부구성 - Pod
Pod란? 컨테이너를 하나 이상 모아둔 것으로 쿠버네티스 애플리케이션의 최소 단위이다. 여러 개의 컨테이너로 구성된 포도도 있고, 단일 컨테이너로 이루어진 포드도 있다. kubernetes의 kube-apiserver나 core-dns등 master node에서 볼 수 있는 기능들도 다 각자의 POD에서 구성된다. Pod의 특징 기본적으로 하나...
Pod란? 컨테이너를 하나 이상 모아둔 것으로 쿠버네티스 애플리케이션의 최소 단위이다. 여러 개의 컨테이너로 구성된 포도도 있고, 단일 컨테이너로 이루어진 포드도 있다. kubernetes의 kube-apiserver나 core-dns등 master node에서 볼 수 있는 기능들도 다 각자의 POD에서 구성된다. Pod의 특징 기본적으로 하나...
이전 포스팅에서는 도커의 대략적인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컨테이너 툴인 도커의 구조에 대해서 알아봤으니 컨테이너들을 관리하는 오케스트레이션 툴인 쿠버네티스에 대해서 간략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쿠버네티스는 오케스트레이션 툴 중에 가장 유명하고 많이 사용되는 툴이다. 구글의 서비스 운영 철학이 녹아있고 많은 사용사례가 있는 강력한 툴이다. 이러한 쿠...
도커의 구조 흔히 말하는 도커라고 하면 docker engine을 말하지만 이러한 엔진도 내부 부분으로 나뉘며 엔진만 있어서는 구동이 되지 않는다. 다음 그림은 도커를 구동하기 위한 일련의 그림이다. 해당 그림은 docker 공식 홈페이지에서 갖고 왔다. imgSource : https://docs.docker.com/get-started...
가상화라는게 없던 시절 서버 당 한 개의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던 시기가 있었다. 물론 서로 충돌하지 않으면 여러 개를 돌려도 괜찮지 않나? 하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Product level의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그렇게 서비스를 제공한다는건 가용성으로나 운영적으로나 보안적으로나 바람직하지 못한 일이었기에 서버당 한 개의 어플리케이션이 권장되던 시기였다...
계수 정렬 - Counting Sort (안정 정렬) 키 값이 0을 포함한 양의 정수일때만 사용 가능한 정렬법이다. 각각 요소인 양의 정수값을 인덱스로 사용하여 해당 배열을 정렬하는 방법이다. 입력 배열 A와 그의 길이 N, 임시배열 T와 T의 길이 K, 출력배열을 R이라고 할때 순서는 다음과 같다. 입력배열 A 전체를 순회하며 각각 ...
퀵 정렬 (불안정 정렬) 이론상 가장 빠른 정렬이다. 그래서 이름이 퀵 정렬이라고 붙었다. 하나의 리스트를 피벗 기준으로 작고 큰 것으로 나누어 정렬 한다. pviot을 어떻게 선정하느냐에 따라서 이 알고리즘의 속도 차이가 매우 커진다. 분할(Divide): 입력 배열을 피벗을 기준으로 비균등하게 2개의 부분 배열로 분할한다. 정복(Co...
정렬 데이터를 사용하려면 특정한 법칙에 따라 분류가 되어있어야한다. 그리고 이런 분류 중에 가장 많이 쓰는 것은 정렬이다. 이런 정렬의 종류를 크게 두 가지로 나누자면 안정 정렬과 불 안정 정렬로 나눌 수 있다. 안정 정렬은 기존의 데이터 순서를 유지한채 정렬이 되는 것이고 불안정 정렬은 기존 데이터 순서와 관계 없이 정렬이 되는 것이다. 그냥...
특정 노드에서 특정 노드로 최소 비용 경로 전체 값이 작은 최소 비용 신장 트리 때와는 달리 특정 노드에서 특정 노드로 이동할때 최소 가중치를 이용한 path를 구축하고 싶을 수 있다. 이럴 때 사용하는 알고리즘은 아래와 같다. 다익스트라 알고리즘(Dijkstra algorithm) 동적 계획법 (Dynamic programming) 기법을 이용해서...
그래프 연산 깊이 우선 탐색 (DFS - Depth First Search) 탐색을 시작하는 노드 v에서 인접하며 방문하지 않은 노드 w를 방문 w에서 인접하며 방문하지 않은 노드를 y를 방문 위 과정을 반복하여 탐색하면 깊이 우선 탐색이다. 재귀 함수를 통하거나 stack을 통해 구현 가능하다. 넓이 우선 탐색 (BFS - Breath Firs...
그래프 점이 있고 이 점이 선으로 연결된 형태를 그래프라고 한다. 이러한 점은 각각 vertex, 정점, 노드라고 불리며 연결한 선은 edge 혹은 간선이라고 부른다. 이전에 트리는 순환 형태가 없는 그래프를 말했지만, 그래프는 순환 형태가 있는 것, 순환 형태가 없는 것을 모두 통칭해서 말한다. 종류 그래프의 종류는 크게 두 종류로 나뉜다. 무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