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 문자, 문자배열, 문자열
C++ 문자, 문자배열, 문자열 1. 문자 기본적으로 아스키코드 문자라면 1개당 1byte를 요한다. 인터넷 웹페이지에서 사용하는 UTF-8은 영문의 경우 1byte이고 한글이나 한자는 3byte이다. 한글 문자 인코딩 표준은 KS X 1001, EUC-KR에 따라 2byte 문자로 처리된다. 그래서 만약 한국어 문자를 입력하고 싶다면 char 형으...
C++ 문자, 문자배열, 문자열 1. 문자 기본적으로 아스키코드 문자라면 1개당 1byte를 요한다. 인터넷 웹페이지에서 사용하는 UTF-8은 영문의 경우 1byte이고 한글이나 한자는 3byte이다. 한글 문자 인코딩 표준은 KS X 1001, EUC-KR에 따라 2byte 문자로 처리된다. 그래서 만약 한국어 문자를 입력하고 싶다면 char 형으...
C++ 조건 분기문, 반복문 1. 조건 분기문 특정 조건이 만족하면 해당 문을 실행하고 만족하지 않으면 해당 문을 실행하지 않는 조건 분기문이다. 1) if else 대부분의 언어들이 if 식별자를 지원하며, C++ 역시 마찬가지이다. // 단일 조건 if({조건}) { } // if 안의 값이 아닐 경우 나머지 처리 if({조건}){ } e...
C++ 배열, 포인터, 참조자 1. 배열 코드 짜는데 배열 모르는 사람이 있나?라고 물을 수 있다. 배열 모르는 사람은 없다. 단지, 하이레벨 언어를 사용하다보면 C계열 언어 배열 선언법을 까먹을 순 있다 ;; Javascript는 별도로 array로 만들던가, 그냥 배열 형태로 값을 넣으면 됐었고, python도 그냥 넣으면 된다. 이렇게 되니...
C++ 자료형과 변수 1. 자료형 1) 기본 자료형(Primitive data types) a. bool(boolean) 1byte의 크기를 갖는 자료형으로 true, false 만 넣을 수 있다. 비교 연산자 (<,>)에서의 반환값은 모두 bool이며 기본적인 내용은 C와 동일하다. bool flag = true; b. int(in...
C++ C++를 내가 처음 접한건 대학교 2학년때이다. 당시에 1학년때 C언어를 배우고 Row level 언어에 흠뻑 빠져있던 시절 C++은 객체 지향에 대한 인식을 심어준 첫번째 언어이다. 이후 Java를 좀 쓰다가 취직후 Javascript와 Python만 썼었는데 이후 대학원에 와서 DiskANN 분석을 위해 C++ 코드를 접하니까 하나도 기억이...
Micro Service Architecture - 도메인 주도 설계(Domain-Driven Design) 1. 개요 도메인 주도 설계(DDD)는 소프트웨어를 실제 비즈니스 도메인(문제 영역)의 모델과 최대한 일치시키려는 설계 접근법이다.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를 처리하는데 좋은 방법이며, 프로젝트를 더 작은 도메인으로 나누고 이를 가지고 각 도메인...
Micro Service Architecture - API Gateway pattern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클라이언트와 백엔드 서비스 사이의 단일 진입점(single entry point)을 제공하는 패턴이다. (약간 이 부분은 공부하면서 그냥 Reverse proxy로 구성하면 API Gateway pattern이 아닌가 하는 생각은 들었다....
Architecture - Micro Service Architecture 이전에 회사에 다녔을 때 서비스를 운용하고 개발하는 방식은 모놀리딕 방식이었다. 지금 포스팅하고자하는 Micro Service 구조의 반대 방식이고 전통적인 방식이었는데, 여러가지 문제가 있었다. 그때의 기억을 되살려 이번에는 Micro service Architecture가 ...
Recovery - Checkpoint 1. 개요 전체 WAL에 대해서 복구를 시도하면 너무나 양이 많기 때문에 체크포인트를 찍어서 이후부터 작업할 수 있게 한다고 했다. 그리고 이 체크포인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2. Non-Fuzzy checkpoints 앞서 Loggin에서 설명했던 체크 포인트 방식이다. 새로운 ...
Recovery - ARIES 1. 개요 ARIES(Algorithms for Recovery and Isolation Exploiting Semantics)는 DB 복구를 위해 나온 알고리즘이다. 모든 시스템이 이 논문에서 정의한 대로 ARIES를 정확히 구현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 비슷하게 구현되어있으며 이를 알게 되면 복구에 대해서 이해할 ...